전기공학도 재테크생활

반응형

두번째 자료 올립니다!

 

 

 

■ 지락 보호 계전기의 종류를 용도(기능)별로 구분하여 3가지만 쓰시오.

① 지락 과전류 계전기 ② 지락 과전압 계전기 ③ 지락 방향 계전기

■ 역률을 높게 유지하기 위하여 개개의 부하에 고압 및 특고압 진상용 콘덴서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현장 조작 개폐기보다 부하측에 접속하여야 한다. 콘덴서의 용량, 접속 방법 등은 어떻게 시설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는 지와 고조파 전류의 증대등에 대한 각 물음에 답하시오.

⑴ 콘덴서 용량 결정의 상한 값은 어떤 성분의 전력값보다 크지 않아야 하는가? 부하의 지상 무효분

⑵ 콘덴서를 본선에 접속시키는 방법과 특히 유의할 점등을 설명하시오.

콘덴서는 본선에 직접 접속하고 특히 전용 개폐기, 퓨즈, 유입차단기 등을 시설하지 말 것 이 경우 콘덴서에 이르는

분기선은 본선의 최소 굵기보다 적게 하지 말 것

⑶ 고압 및 특고압 진상용 콘덴서를 설치하므로 인하여 공급회로의 고조파 전류가 현저하게 증대하여 유해 할 경우

콘덴서 회로에 유효한 어떤 것을 설치하여야 하는가? 직렬리액터

 

■ 부하역율개선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01-2회) (# 역률의 정의 ?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

⑴ 역률을 개선하는 원리를 간단히 설명하시오 ? 뒤진역률에 앞선무효분을 투입하여전류가 전압보다 앞서므로로개선

⑵ 역률저하시 수용가가 볼수 있는 손해 2가지 ? ① 전력손실 ② 전기요금증가

 

■ 역률 개선 원리와 역률 저하하는 경우 수용가에 미치는 영향은?

원리: 유도성 부하를 사용하게 되면 역률이 저하된다. 이것을 개선하기 위해 부하에 병렬로 콘덴서(용량성)을 설치하

여 진상전류를 흘려줌으로서 무효전력을 감소시켜 역률을 개선한다.

 

■ 조명에서 사용되는 다음용어의 정의를 쓰고, 그 단위를 쓰시오.

⑴ 광속: F[lm] 방사속(단위 시간당 방사되는 에너지의 량)중 빛으로 느끼는 부분(빛의 양)

⑵ 광도: I[cd] 광원에서 어떤 방향에 대한 단위 입체각으로 발산되는 광속(빛의 세기)

⑶ 조도 E[lx] 어떤 면의 단위 면적당 입사광속(단위면적당 빛의 양)

⑷ 휘도 B[sb, nt] 광원의 임의의 방향에서 바라본 단위 투영 면적당 광도(눈부심의 정도)

⑸ 광속 발산도 R[rlx] 광원의 단위 면적으로부터 발산하는 광속(물체표면의 밝기)

 

■ 축전지 설비에 대한 각 물음에 답하라.

⑴ 연축전지 설비의 초기에 단전지 전압의 비중이 저하되고, 전압계가 역전하였다 ? 축전지의 역접속

⑵ 충전장치고장, 과충전, 액면저하로 인한 극판 노출, 교류분 전류의 유입과대 등의 원인에 의 하여 발생할

수있는 현상은? 축전지의 현저한 온도 상승 또는 소손

⑶ 축전지의 부하를 충전기에 병렬로 접속하여 사용하는 충전방식은? 부동충전방식

⑷ 축전지 용량은 C=1/LKI로 계산하며, I는 방전전류, K는 용량 환산 시간이다. L은 무엇인가? 보수율

■ 축전지에 대한 다음 물음에 답하라.

⑴ 축전지의 과방전 및 방치상태, 가벼운 설페이션 현상 등이 발생시 기능회복을 위해 실시하는 방식은? 회복충전

⑵ 알칼리 축전지의 공칭 전압은? 1.2[V]

 

■ 발전기실의 건물 높이를 결정하는데 반드시 고려해야 할 사항은?

① 발전기의 유지보수가 용이할 것 ② 발전기 부속설비(소음기, 환기설비)등의 높이 및 설치위치

 

■ 발전기(비상전원에서 발생된 전압을 공급하기 위하여 부하에 이르는 전로에는 발전기에 가까운곳에 쉽게 개폐 및 점검을 쉽게 점검을 할 수 있는 곳에 기기 및 기구들을 설치하여야 하는데 이 설치하여야 할 것들을 4가지만 쓰시오.

① 개폐기 ② 과전류차단기 ③ 전압계 ④ 전류계

 

■ 발전기 병렬운전조건

① 기전력의 크기를 같을 것 ② 기전력의 주파수가 같을 것

③ 기전력의 위상이 같을 것 ④ 기전력의 파형이 같을 것

 

■ 변압기의 병렬 운전 조건

① 극성이 같을 것 ② 권수비 및 1차, 2차 정격전압이 같을 것

③ % 임피던스 강하가 같을 것 ④ 각변압기의 누설 리액턴스비가 같을 것

※ 3상변압기 병렬 운전조건 : ① 상회전 방향일 같을 것 ② 위상변위가 같을 것

 

■ 전력 퓨즈에 대한 기능 및 사용상 장점

기능 ① 부하 전류를 안전하게 통전시킨다. 일정 값 이상의 과전류는 차단하여 전로나 기기 보호한다.

사용상장점 ① 소형 경량이어서 설치용이 ② 소형으로 큰 차단 용량을 갖는다. ③ 고속 차단 가능 ④ 보수 간단

 

■ 전력 퓨즈 선정시 고려하여야 할 사항

① 과부하 전류에 동작하지 말 것 ② 변압기 여자 돌입 전류에 동작하지 말 것

③ 충전기 및 전동기 기동 전류에 동작하지 말 것 ④ 보호기기와 협조를 가질 것

 

■ 역률이 90% 이하로 저하하는 경우 수용가에 미치는 손해는?

① 전력 손실이 커진다. ② 전압 강하가 커진다. ③ 전기 설비 용량이 증가한다. ④ 전기요금이 증가한다.

 

■ 전동기의 기동 방식 중 리액터 기동 방식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시오.

전동기의 전원측에 직렬로 리액터를 접속하여 리액터 전압 강하에 의해 전동기에 인가되는 전 압을 감압시켜 기동하는 방식

 

■ 저압 및 고압 특고압 수전의 3상 3선식 또는 3상 4선식에서 불평형 부하의 한도는 단상 접속 부하로 계산하여 설비 불평형률을 30[%] 이하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그러나 예외 규정 이 있다 예외 규정 4가지는?

저압 수전에서 전용 변압기 등으로 수전하는 경우

고압 및 특고압 수전에서100[KVA] 이하의 단상 부하인 경우

고압 및 특고압 수전에서는 단상부하 용량의 최대와 최소의 차가 100[KVA]이하인 경우

특고압 수전에서100[KVA] 이하의 단상 변압기 2대로 역 V 결선하는 경우

 

■ 전력퓨즈의 이용상 장점

① 가격 저렴 ② 소형 경량 ③ 릴레이나 변성기 불필요 ④ 소형으로 큰 차단용량 보유 ⑤ 고속도 차단

 

■ 수변전 설비에서 에너지 절감 방안 4가지를 쓰시오.(고변최전)

효율 변압기 채택

압기의 운전대수제어가 가능하도록 뱅크를 구성하여 효율적인 운전관리를 통한 손실을 최소화

대수요전력제어 시스템을 채택

력용 콘덴서를 설치하여 역률 개선

 

■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변압기의 호흡작용이란 무엇인가?

변압기외부 온도와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변압기 내부에 절연유의 부피가 수축 팽창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외부의 공기가 변압기 내부로 출입하게되는데 이를 변압기 호흡이라 한다.

(2) 호흡작용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문제점을 쓰시오 ? 호흡작용으로 인하여 변압기 내부에 수분 및 불순물이 혼입되어 절연유의 절연내력을 저하시키고 침전물을 발생 시킬 수 있다.

(3) 호흡작용으로 발생되는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은?콘서베이터를 설치한다.

 

■ 에너지 절약을 위한 동력설비의 대응방안 중 5가지만 쓰시오.(고부애절전제부정엘)

효율 전동기 채용 ➁ 하 역률개선 ➂ 너지 절약형 공조기기 시스템 채택

동기 어시스템의 적용 (VVVF시스템) ➄ 하에 맞는 적용량의 전동기 선정 ➅리베이터의 효율적 관리

 

전기화재 발생원인 5가지를 쓰시오.

➀ 누전 ➁ 과전류(과부하) ➂ 합선 또는 단락 ➃ 불꽃방전(스파크) ➄ 도체접속부 과열

 

■ 변압기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1) 유입풍냉식은 어떤 냉각방식인지 쓰시오.(유방송통)

유입 변압기에 방열기를 부착시키고 송풍기에 의해강제 통풍시켜 절연유의 냉각 효과를 증대시킨방식

(2) 무부하 탭 절환장치는 어떠한 장치인지를 쓰시오.

무부하 상태에서 변압기의 권수비를 조정하여 변압기2차측 전압을 조정하는 장치이다.

(3) 비율차동계전기는 어떤 목적으로 이용되는지 쓰시오 ⇒. 변압기의 내부고장 검출에 이용

(4) 무부하손은 어떤 손실을 말하는지 쓰시오 .부하에 관계없이 전원만 공급하면 발생하는 손실로 히스테리시스 손, 와류손 및 유전체손 등이 있다.

 

■ 전동기에는 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동기용과부하 보호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나 설치하지 아니하여도 되는 경

우가 있다. 설치하지 아니하여도 되는경우의 예를 5가지만 쓰시오.

전동기 자체에 유효한 과부하소손방지장치가 있는 경우

➁ 전동기의 출력이 0.2[KW]이하일 경우

부하의 성질상 전동기가 과부하 될 우려가 없는 경우

공작기계용 전동기 도는 호이스트 등과 같이 취급자가 상주하여 운전할 경우

➄ 단상 전동기로 15[A] 분기회로(배선용 차단기 20[A]) 에서 사용할 경우

 

케이블의 트리현상이란 무엇인가 쓰고 종류3가지를 쓰시오.

트리현상 : 고체절연체 속에서 나무가지 모양의 방전흔적 을 남기는 절연열화 현상을 말한다.

종 류 : 수트리, 전기적트리, 화학적트리

 

예상이 곤란한 콘센트, 비틀어 끼우는 접속기, 소켓등이 있는 경우 수구의 종류에 따른 예상 부하[VA/개]

를 쓰시오? · 콘센트150[VA/개] ·소형 전등수구150[VA/개] ·대형 전등수구300[VA/개]

 

■ 변압기 1차측에 설치할수 있는 차단기 종류 3가지? 유입차단기, 진공차단기, 자기차단기

 

■ 배전선 전압을 조정하는 방법을 3가지만 쓰시오?(05년회)① 자동 전압 조정기 ② 고정 승압기 ③ 병렬 콘덴서

 

변압기 본체 탱크내에 발생한 가스 또는 이에 따른 유류를 검출하여 변압기 내부고장을 검출하는데 사용되는 계전기로서 본체와 콘서베이터 사이에 설치하는 계전기는? 브흐흘쯔 계전기

■ 차단기 트립방식 4가지 ? (00,05년)

직류전압 트립방식 : 별도로 설치된 전지 등의 어용 직류전원의 에너지로 트립하는방식(직류축제)

② 과전류 트립방식 : 단기 회로에 접속된 류기의 2차 전류에 의하여 차단기가 트립되는 방식(차주변이)

③ 콘덴서 트립방식 : 충전된 콘덴서의 에너지의 의하여 트립되는 방식

④ 부족전압트립방식 : 부족전압트립장치에 인가되어 있는 전압의 저하에 의하여 차단기가 트립되는 방식

 

보호계전기의 기억 작용이란 무엇인지 설명하시오.(09년3회)

- 계전기의 입력이 급변했을 때 변화 전의 전기량을 계전기에 일시적으로 잔류시키게 하는 것을 말하며 주로 Mho형

거리계전기에 사용한다.

 

■ 3상 유도전동기 기동법 농형 및 권선형 기동법※ 전전압기동 :5[kw]이하 Y-∆기동법 :5~15[kw] 기동보상기법: 15[kw]이상

(농형) 전전압기동법: 5kw이하의 소용량 농형유도전동기

Y-∆ 기동법: Y로 접속하여 기동함으로기동전류를 감소시키고운전속도에 가까워지면 권선을∆로 변경하여 운전하는방식

기동보상기법: 3상단권변압기를 이용하여 전동기에 인가되는 기동전압을 감소시킴으로써 기동전류를 감소시키는방식

(권선형) 2차 저항 기동: 유도전동기의 비례추이 특성을 이용하여 기동하는 방법으로 회전자회로에 슬립링을 통하여 가변저항

을 접속하고 그의 저항을 속도의 상승과 더불어 순차적으로 바꾸어서 적게하면서 시동하는 방법

2차 임피던스기동 : 회전자회로에 고정저항과 리액터를 병렬접속한 것을 삽입하여기동하는 방법

 

■ 부등률을 설명하라.

개개의 최대 수용 전력의 합계를 합성 최대 수용 전력으로 나눈 값이다. 즉 한 계통 내의 단위 부하는 각각의 특성에 따라 변동하므로 최대 수용 력이 생기는 시각이 다른 것이 보통이다. 이 시각이 다른 정도를 나타내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값으로서 항상 1보다 크다.

 

■ 수용률의 의미 ⇒ 설비용량에 대한 최대수용전력의 비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

 

■ 부하율에 대하여 설명하고, 부하율이 적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지 2가지를 쓰시오.(03년1회)

부하율: 어떤 기간 중의 평균 수용 전력과 최대 수용 전력과의 비를 나타낸다.

부하율이 적다는 의미

① 공급설비를 유용하게 사용하지 못한다.

② 평균 수용 전력과 최대 수용 전력과의 차가 커지게 되므로 부하 설비의 가동률이 저하한다.

 

■ 부등률의 정의?(02년1회) 정의 : 전력소비기기를 동시에 사용하는 정도

 

부등률이 크다는것은 어떤것을 의미하는가 ? 최대전력을 소비하는 시간대가 서로다르다.(04년3회)

 

■ 송전계통의 중성점 접지방식에서 어떻게 접지하는 것을 유효접지라고 하는가 ?

설명 : 1선지락시 건전상대전위상승이 상규대지전압에 1.3배를 넘지 않도록 조절하는 방식 방식 : 직접접지

 

■ 단상유도전동기(분상콘세) 분상기동형, 콘덴서기동형, 반발기동형, 세이딩코일형

가. 분상기동형 단상유도 전동기의 회전방향을 바꾸려면? 기동권선의 접속을 반대로 바꾸어준다.

나. 기동방식에 따를 단상유도전동기의 종류를 분상 기동형을 제외하고 3가지만 쓰라

반발기동형, 반발유도형, 콘덴서 기동형, 세이딩코일형

 

인체가 전기설비에 접촉되어 감전재해가 발생하였을때 감전피해의 위험도를 결정하는 요인 4가지를 쓰시오

➀ 통전전류의 크기 ➁ 통전경로 ➂ 통전시간 ➃ 전원의 종류

 

■ (1)MCC기기 구성에 대한 대표적인 장치3가지는 ?(차기보) 단장치 ➁ 동장치 ➂ 호 및 제어장치

(2)전동기 기동방식을 기기의 수명과 경제적인 면을 고려한다면 어떤방식이 적합한가 ? 기동보상기법

(3)콛덴서 설치시 제5고조파를 제거시 그 대책은 ? 콘데서 요량의 6%정도의 직력리액터 설치

(4)차단기 보호계전기 4가지 요소는 ? ➀ 단일전류요소.➁ 단일전압요소 ➂ 전압전류요소.➃ 2전류요소

 

■ TV나 형광등과 같은 전기제품에서 깜빡거림 현상을 플리커 현상이라 하는데 이 플리커 현상을 경감시키기 위해

수용가측에서의 대책 중에 전원계통에 리액터분을 보상하는 방법 2가지? 직렬콘덴서방식, 3권선 보상변압기 방식

 

■ TV나 형광등과 같은 전기제품에서 깜빡거림 현상을 플리커 현상이라 하는데 경감을 시키기위한 전원측 및 수용가측대책을 3가지씩 쓰시오(04년)

(1)원측(전공단락)용계통공급 ➁ 급전압승압 ➂ 락 용량이 큰계통에서 공급

(1)용가측(수직부직)력콘덴서설치➁ 스터설치 ➂ 렬리액터설치

 

■ 조명 설비의 플리커 현상을 줄일 수 있는 조치는 다음의 경우 어떻게 하는가?

⑴ 백열전등의 경우? 직류를 사용하여 점등한다.

⑵ 3상 전원의 경우? 전체 램프를 1/3씩 3군으로 나누어 각군의 위상이 120°가 되도록 접속하고 개개의 빛을 혼합

⑶ 전구가 2개씩인 방전등 기구? 2등용으로 하나는 콘덴서, 다른 하나는코일을 설치하여 위상 차를 발생시켜 점등

 

■ 공용접지의 장점과 단점을 쓰시오

1) 장점(접합접신접수계통이유다사피뇌)

지극의 연접으로 성저항 저감효과 ② 지극의 연접으로 접지극의 뢰도 향상

지극의 량감소

2)단점 ① 계통 이상전압 발생 시 기전압 상승 ② 른 기기 계통으로부터 고 파급

뢰침용과 공용하므로 서지에 의한 영향 우려됨

 

■ 접지 공사에서 접지저항을 저감시키는 방법

접지극 길이를 길게 한다.

접지극을 병렬 접속한다.

접지극의 굴착 깊이를 길게 한다.

⑤ 접지저항 저감제

④ 심타 공법으로 시공한다.

 

■ 동일 개소에 2종류 이상의 접지 공사시 접지 저항이 적은 것을 공용으로 할 수 있다. 다만 피뢰기, 피뢰침 접지는 타 접지와 공용이 안된다. 그 이유는?

낙뢰에 의한 이상 전압 침입시 피뢰기의 접지선을 통해 다른 기기 및 기구에 침입하여 계통의 사고가 확대되는 것을 방지한다.

■ 배전용 변전소 접지목적을 3가지로 요약 설명하고, 중요한 접지개소를 5개소만 써라(97,90)

⑴ 접지목적 ① 감전방지 ② 기기 손상 방지 ③ 보호계전기 확실한 동작

⑵ 중요 접지개소 ① 일반기기 및 제어반 외함 접지 ② 피뢰기 접지 ③ 피뢰침 접지

④ 옥외철구 및 경계석 접지 ⑤ 케이블 실드선 접지

 

■ 과전류 차단기로 시설는 퓨즈 중 고압전로에 사용하는 포장퓨즈는 정격 전류의

1.3배의 전류의 견디고 또한 2배의 전류에서 120분 이내 용단 되는 것일 것

 

■ 과전류 차단기로 시설는 퓨즈 중 고압전로에 사용하는 비포장 퓨즈는 정격전류의

1.25배의 전류의 견디고 또한 2배의 전류에서 2분 이내 용단 되는 것일 것

※ 저압퓨즈 A종 정격전류의 110[%]전류에 용단되지 않을 것 B종 정격전류에 130[%]전류에 용단되지 않을것

 

■ 도로 조명 설계에 있어 성능상 고려하여하 할 중요한 6가지만 설명하시오 ?(눈휘밝고적당한연금)03,05,09년

➀ 조명기의 부심이 불쾌감을 주지 않도록 할 것

➁ 보행자가 보는 노면에 도가 충분히 높을 것

➂ 도로상의 연직면 조도가 충분히 을 것

➃ 조명시설이 도로나 그 주변에 경관을 려할 것

적당한 그림자가 있을것

➅ 광원색이 환경에 적합한 것이며, 색성이 양호할 것

도 균제도가 일정할 것

 

■ 동기발전기를 병렬로 접속하여 운전하는 경우에 생기는 횡류3가지를 쓰고 각자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09년3회)

무효순환전류 - 병렬운전중인 발전기의 전압을 서로 같게한다.

동기화 전류 - 병렬운전중인 발전기의 위상을 서로 같게한다.

고조파 무효순환전류 - 전기자권선의 저항손이 증가하여 과열의 원인이 된다.

 

 

1)재료비

 

2)노무비

1)공사원가

3)경비

2)일반관리비

 

3)이윤

(노무비+경비+⑧일반관리비)

■ 공사원가계산

 

5천만원미만 - 6[%] 5천만원~3억원미만- 5.5[%] 3억원이상 - 5[%]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