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공학도 재테크생활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전기실기 단답 중요한 부분과 여러 항목을 물어보는 단답을 쉽게 외우게 앞 글자를 따서 외우기 쉽게 정리하였습니다.

 

 

아직 전기실기 시험 전 여유가 있으신분들은 확인하세요!

 

 

2019년 전기기사 실기를 보는 모든분들 화이팅!!(저포함 ㅠㅠ)

 

*자료가 많아서 2개로 나눠서 올리겠습니다.

 

 

■ ‘차단기’의 동작책무는?

차단기에 부과된 1회 2회 이상의 투입, 차단 동작을 일정시간 간격을 두고 행하는 일련의 동작

 

■ 다음과 같은 충전방식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라

⑴ 보통충전 ⇒ 필요시 표준 시간율로 소정의 충전방식을 하는 방식

⑵ 세류충전 ⇒ 축전지의 자기 충전을 보충하기위하여 부하를 OFF시킨 상태에서 미소전류로 항상 충전하는 방식

⑶ 균등충전 ⇒ 각 전해조에서 일어나는 전위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1~3개월마다 1회, 정전압 충전하여 각 전해조의 용량을 균일화하기 위하여 행하는 충전방식

⑷ 부동충전(가장 많이 이용) 축전지의 자기 방전을 보충함과 동시에 상용부하에 대한 전력 공급은 충전기가 부담하도록 하되 충전기가 부담하기 어려운 일시적인 대전류의 부하는 축전기가 부담되도록 하는 방식

⑸ 급속충전 ⇒ 단시간내 보통 충전 전류의 2~3배의 전류로 충전하는 방식

 

■ 고압 및 특고압 진상용 콘덴서 회로에 설치하는 방전 장치는 콘덴서 회로에 직접 접속하거나 또는 콘덴서 회로를 개방하였을 경우 자동적으로 접속되도록 장치하고 또한 개로 후 ①(5)초 이내에 콘덴서의 잔류전하를 ②(50)V 이하로 저하시킬 능력이 있는 것을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저압의 경우 3분 잔류전75V)

 

■ 분기회로의 저압 옥내 간선과의 분기점에서 전선의 길이가 ㉮ (3)[m] 이하의 장소에 개폐기 과전류 차단기를 시설하여야 한다. 다만 간선과의 분기점에서 개폐기 및 과전류차단기까지의 전선에 그 전원측 저압 옥내 간선을 보호하는 과전류 차단기 정격 전류의 ㉯ (55)[%] 이상 [단, 단선의 길이가 ㉰ (8)[m] 이하일 경우에는 ㉱ (35)[%] 이상]의 허용전류를 가지는 것을 사용할 경우 ㉲ (3)[m]를 초과하는 장소에 시설 할 수 있다.

 

■ 조명설비에 있어서 전력을 절약하는 효율적인 방법(고삼창재슬적전등보)

① 고효율 등기구 채용 ② 고조도 저휘도 반사갓 채용 ③ 고역률 등기구 채용

④ 적절한 조광제어실시 ⑤ 등기구의 적절한 보수 및 유지관리

 

■ Spot Network 수전방식에 대해 설명하고 장점 4가지를 쓰시오

1) Spot Network 수전방식(배변배이배일)

전용 전소로부터 2회선 이상의 전선으로 수전하는 방식으로전선 1회선에 사고가 발생한 경우 다른 건전한 회선으로부터 자동적으로 수전할 수 있는 무정전 방식으로 신뢰도가 매우 높은 방식이다.

2) 장점(무신전부)

정전 전력공급 가능. ② 공급 뢰도가 높다. ③ 압 변동률이 낮다. ④ 하 증가에 대한 적응성이 좋다.

 

■ 감전 피해의 위험도를 결정하는 요인

전원의 종류, 통전 전류의 크기, 통전시간, 통전경로

 

■ 전동기 소손 방지를 위한 과부하 보호장치(전열정전)

동기용 퓨즈 ② 동계전기 ③ 지형 계전기 ④ 동기 보호용 배선용 차단기

 

■ 단로기는 어떤 종류의 전류를 차단 할 수 있는가? ① 무부하시 충전전류 ② 변압기 여자 전류

 

■ 고조파 전류가 흐를 때 발생하는 장애 요인과 그 대책

⑴ 장애요인 ① 변압기 전동기 등의 여자전류 ② 전력변환장치 ③ 전기로 아크로 등

⑵ 대책 ① 전력장치의 펄스수를 크게 한다. ② 고조파 필터 사용

③ 변압기 결선에서 △결선을 채용하여 고조파 순환회로를 구성하여 외부에 고조파가 나타나지 않도록 한다.

 

■ 선로나 간선에 고조파전류를 방생시키는 기기가 있을 때 고조파 억제대책 3가지는 ?

전력변환 장치의 펄스수를 크게 한다.

전력변환 장치의전원측에 교류리액터 설치

③ ▼부하측부근에 고조파필터설치

 

■ 수변전설비 기본설계시 검토사항(필수주변감시)

① 필요한 전력추정 ② 수전전압 및 수전방식 ③ 주회로 결선방식 ④사용변전설비의 형식 ⑤ 감시 및 제어방식

 

■ 건조한 장소, 습한 장소, 노출배선 장소, 은폐배선 장소, 점검 불가능 장소에서 적용가능한 배선방법은?

① 금속관 공사, ② 합성수지관 공사, ③ 2종 가요전선관 공사, ④ 3종 및 4종 클로로프렌 캡타이어 케이블공사

■ 몰드 변압기의 장단점? (소절난내전력고충)07년3회

(장점) ① 형 경량화 가능 . ② 연유를 사용하지 않아 유지보수가 용이 ③ 영성이 우수하다

습,내진성이 양호 ⑤ 력손실이 적다

(단점) ① 가이다 ② 격파 내전압이 낮다.

 

■ H종 건식변압기 사용시 같은용량 유입변압기를 사용할 때 비교시 장점 4가지는 ?(소절난절)03년3회

형경량화할 수 있다.

연에대한 신뢰도가 높다.

연성,자기소화성으로 화재발생이나 연소에 우려가 적어 안정성이 높다.

연유를 사용하지 않아 유지보수가 용이

 

■ 배선설계에 있어서 분기과전류 차단기의 정격전류에 따른 분기회로의 종류

① 15[A] 분기회로 ② 20[A] 배선용차단기 분기회로 ③ 20[A] 분기회로

④ 30[A] 분기회로 ⑤ 40[A] 분기회로 ⑥ 50[A] 분기회로 ⑦ 50[A]를 초과하는 분기회로

 

■ 전력케이블의 고장점 측정을 위해 사용하는 방법

① 머레이 루프법 ② 정전 용량법, ③ 펄스 레이다법 ④ 수색 코일법 ⑤ 음향에 의한 방법

 

■ 옥외용 변전소내의 변압기 사고 (권삼고지)

① 권선과 상간단락 및 층간단락 ② 권선과 철심간의 절연파괴에 의한 지락사고

③ 고저압 권선의 혼촉 ④ 권선의 단선 ⑤ 부싱 리드선의 절연파괴

 

■ 콘덴서설비의 주요 사고 원인 3가지를 예로 들어 설명하시오

➀ 콘덴서 설비의 모선 단락 및 지락 ➁ 콘덴서 설비내의 배선 단락 ➂콘덴서 소체 파괴 및 층간 절연 파괴

 

■ 아날로그형 계전기에 비교할 때 디지털 계전기의 장점 (고소융신변)

① 고성능 다기능화 가능 ② 소형화 가능 ③ 신뢰도가 높다 ④ 융통성이 높다 ⑤ 변성기의 부담이 적어진다.

 

■ 전기설비의 방폭구조(특유내압)

① 내압 방폭구조 ② 유입방폭구조 ③ 본질안전방폭구조 ④ 안전증가방폭구조 ⑤압력방폭구조 ⑥ 특수방폭구조

 

■ HID LAMP에 대한 각 물음에 답하시오

⑴ 이 램프는 어떠한 램프를 말하는가 ? 고휘도 방전 램프

⑵ HID LAMP로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등기구의 종류? ①고압 수은등 ②고압 나트륨등③ 메탈 할라이트 램프

 

■ 변압기의 △-△ 결선방식의 장단점(97,04,07)

장점

제 3고조파 전류가 △결선내를 순환하므로 정현파 교류전압을 유기하여 기전력의 파형이 왜곡되지 않는다.

1대가 고장나면 나머지 2대로 결선가능하다.

변압기의 전류가 전류의 1/√3이 되어 대전류에 적합하다.

단점

① 중성점을 접지 할 수 없으므로 지락사고 검출 곤란

② 권수비가 다른 변압기를 결선하면 순환전류가 흐른다

③ 각상의 임피던스가 다를 경우 3상 부하가 평형이 되어도 변압기의 부하전류는 불평형이 된다.

 

■ △-△ 결선 변압기와 △-Y 변압기가 병렬운전을 할 수 없는 이유는 ?

- 2차측의 전압이 30° 위상차가 생겨 큰 순환전류가 흘러 과열 소손된다.

 

■ △-Y 결선의 장단점 ?(92,94,00)

장점 ① 2차 권선의 상전압은 선간 전압의 1/√3이므로 절연이 유리하다.

② 1차가 △ 결선으로 여자 전류의 통로가 있으므로 제 3고조파의 장해가 적고 기전력의 파형이 왜곡되지 않는다.

단점 ① 1차와 2차 선간전압이 30°의 위상차가 있다. ② 1상에 고장발생시 전원공급 불가능하다.

 

■ 단락전류를 계산하는 것은 주로 어떤 요소에 적용하고자 하는 것인지 그 적용 요소에 대해 3 가지만 설명하라.

① 기기에 가해지는 전자력의 추정 ②차단기의 차단 용량 결정 ③보호계전기의 정정 (전자력차단기보호)

 

■ 수변전 설비에 설치하고자 하는 전력 퓨즈에 대해서 각 물음에 답하라

⑴ 전력퓨즈에 가장 큰 단점은? ① 재투입이 불가능하다.

⑵ 전력퓨즈에 기능상 고려할 점은? ① 정격전압 ② 정격전류 ③ 정격차단전류

⑶ 전력퓨즈의 성능? ① 용단특성 ② 전차단 특성 ③ 단시간허용 특성

⑷ PF-S형 큐비클은 큐비클의 주차단 장치로서 어떤 종류의 전력퓨즈와 무엇을 조합한 것인 가?

전력퓨즈 종류: 한류 퓨즈 조합하여 설치하는 것: 고압개폐기

 

■ 계기용 변압기 1차측 및 2차측에 퓨즈를 부착하는지 여부를 밝히고 퓨즈를 부착하는 경우 에 그 이유를 간단히 설명하라.

여부: 1차측 및 2차측에 부착한다.

이유: 계기용변압기 2차부하 단락 및 과부하 또는 계기용변압기 단락시 퓨즈가 차단되어사고가 확대되는것을 방지

 

■ 고조파가 전기설비에 미치는 장애 (기상통보)

① 전력용 기의 과열 및 소손 ② 3 4선식 회로의 중성선 과열 ③ 신선의 유도장해 ④ 호계전기의 오 부동작

 

■ 가스 절연 개폐기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라.

⑴ 가스절연개폐기에 사용되는 가스의 종류는? SF6

⑵ 가스절연개폐기에 사용되는 가스는 공기에 비하여 절연내력이 몇 배 정도 좋은가? 2~3배

⑶ 가스절연개폐기에 사용되는 가스의 장점

절연성능과 안전성이 뛰어난 불활성 기체(SF6)이다. ② 소호능력이 뛰어나다(공기의 각100배)

절연내력은 공기의 2~3배 정도이다.

 

■ 가스절연 개폐장치(GIS)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1) 가스절연 개폐장치(GIS)의 장점 4가지를 쓰시오.

➀ 소형화 할 수 있다 ➁ 충전부가 완전히 밀폐되어 안정성이 높다.

➂ 소음이 적고 환경 조화를 기할 수 있다. ➃ 대기 중의 오염물의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신뢰도가높다.

(2) 가스절연 개폐장치(GIS)에 사용되는 가스는 어떤 가스인가? (육불화유황) 가스

 

■ 자가용 전기설비의 중요검사 (시험)사항

① 절연 저항 시험 ② 접지 저항 시험 ③ 절연내력시험 ④ 계전기 동작시험

⑤ 외관검사 ⑥ 계측 장치 설치 상태 검사 ⑦ 절연유 내압 및 산가측정

 

■ 연축전지의 고장 현상이 다음과 같을 때 이의 추정원인은 ?

⑴ 전 셀의 전압 불균형이 크고 비중이 낮다 ⇒ 충전부족으로 장시간 방치한 경우

⑵ 전 셀의 비중이 높다 ⇒ 증류수가 부족한 경우

⑶ 전해액 변색, 충전하지 않고 그냥 두어도 다량으로 가스 방출 ⇒ 전해액 불순물 혼입

 

■ 교류형 적산전력계의 구비조건과 잠동 현상에 대해 서술하라.(과부온기기내)

구비조건 ① 옥내 및 옥외에 설치가 적당할 것 ② 온도나 주파수 변화에 보정이 되도록 할 것

③ 기계적 강도가 클것 ④ 부하특성이 클것 ⑤ 과부하 내량이 좋을것

잠동현상 : 무부하 상태에서 정격주파수 및 정격전압의 110%를 인가하여 계기의 원판이 1회전이상 회전 하는 현상

방지대책 : - 원판에 작은 철편을 붙인다. - 원판에 작은 구멍을 뚫는다.

 

■ 전력계통이 단락 용량의 경감 대책을 세워야 한다. 이 대책을 3가지를 쓰시오. (고모한류)

고임피던스 기기 채택한다 모선 계통을 분리 운용한다. ③ 한류리액터 설치

 

■ 피뢰기 구비조건(충제상속)

격방전개시 전압이 낮을 것 ② 한전압이낮을 것 ③ 용주파 방전개시전압이 높을것 ④류차단능력이 클 것

 

■ 다음과 같은 저항을 측정하는 방법이나 측정계기를 쓰시오.

⑴ 굵은 나전선 저항 ⇒ 캘빈더블 브리지 ⑵ 수천옴의 가는 전선 저항 ⇒ 휘스톤 브리지

⑶ 전해액의 저항 ⇒ 콜라우시 브리지 ⑷ 옥내전등선의 절연저항 ⇒ 절연저항계

 

■ 피뢰기에 대한 각 물음에 답하시오.

⑴ 교류 피뢰기 구조는 무엇과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직렬갭과 특성요소

⑵ 피뢰기의 정격 전압은? 속류를 차단할 수 있는 교류 최고 전압

⑶ 피뢰기 제한 전압은 어떤 전압을 말하는가? 피뢰기 방전중 피뢰기 단자에 남는 충격전압

*직력갭 : 뇌전류를 대지로 방전하고 속류차단

*특성요소 :뇌전류 방전시 피뢰기 자신의 전위상승을 억제하여 자신의 절연파괴 방지

 

■ 갭레스 피뢰기의 주요특징(99-6회)

①직렬갭이없으므로 소형화, 경량화 할 수 있다 ②속류가없어 빈번한 작동에도 잘 견딘다. ③속류에 따른 특성요소의 변화가 적다.

 

■ 다음 주어진 전기용어를 간단히 설명하시오

⑴ 뱅크: 전로에 접속된 변압기 또는 콘센트의 결선상 단위

⑵ 수구: 소켓, 리셉터클, 콘센트 등의 총칭

⑶ 한류퓨즈: 단락 전류를 신속히 차단하며 또한 흐르는 단락 전류의 값을 제한하는 성질을 가진 퓨즈

⑷ 접촉 전압: 지락이 발생된 전기기기 기구의 금속제외함 등이 인축에 닿을 때 인체에 가해지 는 전압

 

■ 릴레이 시퀀스와 무접점 시퀀스에 사용되는 전자 릴레이와 무접점 릴레이를 비교시 전자릴레이의 장단점 5가지

장점 (과부온전한가)부하 내량이 크다 ② 하가 큰 전력을 인출 할 수 있다.. ③ 도 특성이 좋다

기적 잡음 없이 입출력 분리할 수 있다. ⑤ 격이 저렴하다

단점(응소가 늦어소충)답속도가 느리다. ② 비전력이 크다.다. ③ 동 접촉부 수명이 짧다.

형화에 한계가 있 ⑤ 격 진동에 약하다.

 

■ 과부하시 자동으로 개폐 할 수 있는 고장 구분 개폐기는? 자동고장 구분개폐기

 

■ 영상 변류기를 3상 3선식 수전설비에 시설시 짝지어 차단기를 동작시키는 계전기는 어떤 것인가? 지락계전기

 

■ 예비전원설비를 축전지 설비로 할 때, 다음 각 물음에 답하라.

⑴ 축전지의 충전방식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부동충전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라

축전지의 자기 방전을 보충함과 동시에 상용부하에 대한 전력공급은 충전기가 부담토록하되 충전기가 부담하기 어려운 일시적인 대전류 부하는 축전지로 하여금 부담하게 되는 방식

⑵ 연축전지와 알칼리 축전지를 비교시 알칼리 축전지의 장점 2가지와 단점 1가지를 쓰시오.(수진충방사)

장점 ①수명이길다 ②진동과 충격에 강하다 ③충방전 특성이 양호하다

④방전시 전압변동이 적다 ⑤사용온도법위가 넓다

단점 ① 연축전지에 비해 단자 전압이 낮다.② 가격이비싸다

 

■ 지중 전선로를 채택하는 이유(수뇌도보)

용 밀도가 현저하게 높은 지역에 공급하는 경우 ② , 풍수해 등에 의한 사고에 대하여 높은 신뢰도가 요구되는 경우

시 미관을 중요시 하는 경우 ④ 안상의 제한 조건 등으로 가공전선로를 건설할 수 없는 경우

■ 전력용 콘덴서와 함께 설치되는 방전코일과 직렬 리액터의 용도를 간단히 설명하시오

.방전코일: 콘덴서 잔류 전하 방전 직렬리액터: 제 5고조파제거

■ 직렬 리액터의 용량을 결정하는 기준 ? 00년 1회

5wL=1/5wC에서 wL= 0.04×1/wC 가된다

따라서 직력리액터의 용량은 이론상 :4% 적용 : 2%의 여유를 고려하여 콘덴서 용량의 6%적용

 

■ 역률 과보상시 나타나는 현상 (과역단계)03년3회①역률의 저하 및 손실의 증가 ②단자전압 상승 ③계전기 오동작

 

부하시 콘덴서가 과대 삽입되는 경우의 결점(앞모설비)04년1회

앞선 역률에 의한 전력 손실이 생긴다. ② 선 전압의 과상승

비 용량이 감소하여 과부하가 될 수 있다. ④ 조파 왜곡의 증대

 

■ 변압기의율이떨어지는 경우(효부경부) 하의 역률 저하 ② 부하 운전 ③하 변동이 심한 경우

■ 복도체방식과 단도체를 비교시 복도체방식의 장단점 3가지는?[03년2회](송코안정)(건설꼬임소충단소)

장점 ① 전용량증대 ② 로나 손실감소 ③ 안정도증대

단점 ① 건설비증가 ② 꼬임현상및도체사이에돌현상 발생 ③락시대전류등이흐를때도체사이흡인력방생

 

■ 과전류 차단기 시설 제한 개소는?(접다저)

① 접지 공사의 접지선 ② 다선식 선로의 중성선 ③ 저압 가공 전선로의 접지측 전선

 

■ 특고압 수전설비에 설치될 차단기를 설치하고자 한다. 수전설비의 부하에 콘덴서가 많이 설치되어 있어 재점호가 발생하지 않는 차단기를 설치하고자 한다면 어느종류의 것을 채택해야 하는지 그 종류를 2가지만 쓰시오(진가). ① 진공차단기 ② 가스차단기

 

■ 변전설비 기본 계획시 고려해야 할 사항

① 안전성 ② 신뢰성 ③ 경제성 ④ 주변 환경 고려 ⑤ 조작 및 취급 ⑥ 보수 점검 유지

 

■ 변압기 보호장치(유충브비방)

온계 ② 격 압력 계전기 ③ 흐홀쯔 계전기 ④ 율 차동계전기 ⑤ 압 장치

 

■ 중성점 직접 접지 계통에 인접한 통신선의 전자 유도 장해 경감에 관한 대책을 경제성이 높은 것부터 설명하라.

⑴ 근본대책 ? 전자 유도 전압의 억제

⑵ 전력선측 대책 (5가지) (연차고중저접송통)

가를충분히 한다 ②.폐선설치 ③ 장회선을 고속도로 차단한다.

성점 지를 할 경우 저항값을 가능한 큰값으로한다 ⑤ 전손로를 가능한 신선으로부터 멀리한다.

⑶ 통신선측 대책(통절연통배전)

연 변압기를 설치하여 구간을 분리한다. ② 피케이블을 사용한다. ③ 신선에 우수한 피뢰기를 설치한다.

류 코일을 설치한다. ⑤ 력선과 교차시 수직교차한다.

■ 다음 변압기 냉각방식의 명칭은 무엇인가?

[예] AA(AN) : 건식자냉식

➀ OA(ONAN) : 유입자냉식 ➁ FA(ONAF) : 유입풍냉식 ➂ OW(ONWF) : 유입수냉식 ➃ FOA(OFAF) : 송유풍냉식

➄ FOW(OFWF) : 송유수냉식

 

■ 고압회로용 진상콘데서 설비의 보호장치에 사용되는 계전기는 ?(06년-1)➀과전압계전기 ➁저전압계전기 ➂과전류계전기

 

■ 배전 선로의 전압이 13200/22900[V]인 3상 4선식 다중 접지 방식에서 수전하는 자가용 수전 설비의 인입구에 시설하는 피뢰기의 정격 전압은 몇 [KV] 이어야 하는가? 18[KV]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loading